무릎인대 및 연골 파열
-무릎인대 및 연골파열-
무릎은 사고로 인해 많이 다치는 부위 중의 하나이며, 무릎 부상시 관절을 지지하고 있는 인대의 손상을 입는 경우가 많이 있다.
무릎 인대가 파열되면 인대가 기능하고 있던 역할이 저하된다.
즉 무릎관절의 유격(관절의 흔들림)이 발생하고, 무릎이 과도하게 구부려지거나 펴질 수 있으며, 반대로 관절운동의 제한으로 무릎 기능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무릎인대의 파열 여부는 동통 및 압통, 종창 여부, 운동제한, 전후방 동요, 혈관절증 여부 등에 대해 임상검사를 한 후 필요시 추가적으로 MRI 검사 등을 시행하며, 관절경 검사(관절경 검사는 일반적으로 수술과 같이함)를 하기도 한다.
인대파열로 관절의 이완(동요)이 심한 경우 인대봉합수술을 하며, 이 경우 대개는 장해를 남기게 된다.
특히 전후방 십자인대파열로 봉합수술을 할 정도의 부상인 경우 대체로 장해를 남기게 되며, 장해 판단 시점은 다른 부위의 부상과 달리 수술 후 6개월 이상 경과하여 충분히 일상생활에 적응한 후가 좋다.
슬관절의 무릎인대는 인대 자체가 파열되는 경우도 있지만 인대의 강도가 강해 인대가 부착된 경골부위의 뼈를 골절시키는 경우도 있다(이를 견연골절이라 한다). 이 경우 스테플 또는 스크류 등으로 인대를 골에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무릎인대파열 치료방법-
인대의 파열은 부상 즉시 발견하는 경우도 있지만 상당한 시간이 흐른 다음 발견되는 경우도 많이 있다
(따라서 제법 시간이 경과한 후 발견되어도 사고로 인한 부상으로 간주된다).
무릎관절의 통증이 지속되고, 종창이 쉬 가시지 않으며, 삼출액(다친 신체조직 내에서 고이는 액) 등이 지속되어 나중 MRI검사 등에 의해 발견되는 경우도 많다.
무릎인대는 탄탄하고 강인한 조직이다.
따라서 손쉽게 파열되지 않지만 강한 외력이 가해지면 전부 파열을 일으키며, 외측이나 내측의 인대가 단독파열 되는 경우도 있으나 십자인대의 경우 단독 파열보다는 측부인대의 파열을 동반하거나 연골파열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한다.
인대가 파열되면 그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을 정한다. 심하지 않는 경우 탄력붕대, 석고, 보조기 등으로 고정하는 보존적 방법에 의해 치료를 하며, 파열이 심한 경우에는 인대봉합수술이나 인대를 이식하는 수술을 하게 된다.
수술 이후에는 관절염의 예방과 통증해소를 위한 약물과 주사, 보존적 치료를 하게 된다.
고정과 안정 후에는 관절운동의 기능을 원할하게 하고, 운동이 제한되는 관절강직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자력운동, 재활운동, 물리치료 등을 하게 된다.
-무릎 연골의 손상-
무릎 관절의 대퇴골과 경골, 그리고 슬개골은 관절연골로 감싸여져 있다.
즉 경골과 대퇴골 사이에 좌우로 초승달 모양의 평원판의 연골이 있는데, 이를 무릎 관절의 반월상 연골이라 한다.
연골의 역할은 충격에 의한 무릎의 쇼크를 흡수 분해하여 무릎관절이 매끄럽게 움직이는 것을 돕고, 대퇴골과 경골 사이의 쿠션 역할을 한다.
대퇴골과 경골 및 연골의 일부에는 십자인대가 부착되며, 이들은 관절낭(관절낭 내에는 관절운동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할액과 할액막이 있음)에 의해 감싸여지고, 다시 그 위에 내외측인대와 건 및 근육, 피부로 감싸진다.
반월상 연골은 파열되면 연골연화증 등이 초래되므로 균열된 조각들을 제거해내는데, 이 경우 역시 퇴행성의 관절염 등을 초래하기 쉽다.
따라서 무릎 연골 파열의 경우 치료 후 장해가 남는 것이 보통이며, 연골 제거술을 시행하지 않아 간헐적 용수철관절 현상이